! Exclamation Point (익스클레메이션 포인트)
? Question Mark
" Quotation Mark (쿼테이션 마크)
# Crosshatch (크로스해치)
$ Dollar Sign (달러사인)
% Percent Sign (퍼센트사인)
@ At Sign (엣 사인, 혹은 엣)
& Ampersand (앰퍼센드)
' Aposterophe (어퍼스트로피)
* Asterisk (아스테리스크)
- Hyphen (하이픈)
. Period (피리어드)
/ Slash (슬래시)
\ Back Slash (백슬래시) (원래 원 표시지만 한글자판에서 \를 대신함)
: Colon (콜론)
; Semicolon (세미콜론)
^ Circumflex (서큠플렉스)
` Grave (그레이브)
{ Left Brace (레프트 브레이스)
} Right Brace (라이트 브레이스)
[ Left Braket (레프트 브라켓)
] Right Braket (라이트 브라켓)
( Left Parenthesis
) Right Parenthesis
< Left Angle Bracket
> Right Angle Bracket
| Vertical Bar (버티컬바)
~ Tilde (틸드)
_ Under score (언더스코어)
덧셈 : addition (에디션)
뺄셈 : subtraction (서브트랙션)
곱셈 : multiplication (멀티플케이션)
나눗셈 : division (디비션)
분수 : fraction (프락션)
절대값 : absolute value (앱쏘루트 밸류)
근사값 : approximate value (어프락시메이트 밸류)
최대값 : maximum (멕시멈)
오차 : error (에러)
삼각함수 : trigonometric function (트라이고노메트릭 펑크션)
함수 : function (펑크션)
이차함수 : quadratic function (쿼드라틱 펑크션)
인수분해 : factorization (팩토리제이션)
소인수분해 : prime factorization (프라임 팩토리제이션)
유리수 : rational number (레이셔널 넘버)
무리수 : irrational number (이레이셔널 넘버)
정수 : integer (인티저)
실수 : real number (리얼 넘버)
복소수 : complex number (컴플렉스 넘버)
자연수 : natural number (네츄럴 넘버)
약수 : divisor (디바이저)
배수 : multiple (멀티플)
반올림 : rounding (라운딩)
방정식 : equation (이퀘이션)
다항식 : polynomial (폴리노미얼)
항등식 : identity (아이덴티티)
연립방정식 : simultaneous equations (사이물테이너스 이퀘이션)
이차방정식 : quadratic equation (쿼드라틱 이퀘이션)
미분방정식 : differential equation (디퍼엔셜 이퀘이션)
제곱근 : square root (스퀘어 루트)
그래프 : graph (그래프)
지수 : exponent (익스포넨트)
로그 : logarithm (라그리뎀)
행렬 : matrix (매트릭스)
역행렬 : inverse matrix (인버스 매트릭스)
등차수열 : arithmetic progression (어리뜨메틱 프로그레이션)
등비수열 : geometric progression (지오메트릭 프로그레이션)
귀납 : induction (인덕션)
수학적 귀납법 : mathematical induction (메떼메티컬 인덕션)
무한수열 : infinite sequence (인피니트 씨퀜스)
극한 : limit (리미트)
Α α →알파(ALPHA)
Β β →베타(BETA)
Γ γ →감마(GAMMA)
Δ δ →델타(DELTA)
Ε ε →입실론(EPSILON) : 소문자는 유전율의 기호로 쓰인다.
전속밀도(D)=유전율(ε)x전장세기(E)인데 이를 "드라마 에로스입술" 로 외우면 잊혀지지 않는다.
Ζ ζ →제타(ZETA)
Η η →에타(ETA) : 효율을 나타내는 기호로 쓴다.
Θ θ →쎄타(THETA) : 소문자는 각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호로 쓴다. 그리고 cosθ(코싸인
쎄타)는 역률을 나타낸다.
Ι ι →이오타(IOTA)
Κ κ →카파(KAPPA)
Λ λ →람다(LAMBDA)
Μ μ →뮤(MU) : 소문자는 투자율의 기호로 쓴다. 또한 "마이크로" 또는 "미크론"으로
읽으면 100만분의 1이라는 뜻이다.
자속밀도(B)=투자율( μ )x자장세기(H)인데 이를 "브라보 한국뮤직"으로 외우면 잊혀지지 않는다.
Ν ν →뉴(NU)
Ξ ξ →크사이(XI)
Ο ο →오미크론(OMICRON)
Π π →파이(PI) : 파이의 대문자는 '총승(누적곱하기)'의 기호로, 소문자는 원주율(3.14)
의 기호로 쓴다. 또한 라디안각도에서는 파이는 180도이다.
Ρ ρ →로우(RHO) :소문자는 저항률의 단위로 쓴다.
Σ σ →시그마(SIGMA) :대문자는 '총합(누적더하기)'의 기호로, 소문자는 도전율의 기호
로 쓴다.
Τ τ →타우(TAU)
Υ υ →웁실론(UPSILON)
Φ φ →퐈이(PHI) : 대문자는 자속을 나타내는 기호로 쓴다.
기자력(F)=자속(Φ)x자기저항(R)인데 이를 "플라이로보트퐈일"로 외우면 잊혀지지 않는다
Χ χ →카이(CHI)
Ψ ψ →프사이(PSI)
Ω ω →오메가(OMEGA) : 대문자는 저항의 단위로 쓰고("오옴"으로 읽음)소문자는 각속도
기호로 쓴다. 대문자를 상하로 뒤집어 나타내면 도전율의 단위가 되며 "모오(mho)"라고 읽는다.
<수학기호로 쓰이는 특수문자>
∂ 라운드D : 편미분기호
∇ 나블라 : 미분연산자기호
∬ 더블 인티그럴 : 중적분 기호
∮ 서큘라 인티그럴 : 선적분기호 (주회적분(周回積分-폐곡선을 따라 하는 적분)이라고도 함)
[출처] 영어기호 & 수학영어 & 그리스 문자 (펌)|작성자 라이트
'PC& Etc > PC Tip & TA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포털사이트'들의 국적은? (0) | 2012.12.10 |
---|---|
음악소스 wma 파일로 변환 (0) | 2012.11.23 |
[스크랩] 여러 희한한 특수문자들을 호출하는방법 (0) | 2011.01.21 |
바탕화면과 도구모음을 깔끔하게 (0) | 2011.01.07 |
윈도우 시작시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 제어하는 방법 (0) | 2011.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