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술 중 하나이다. 구약성경의 노아 시대에 이미 포도원을 가꾸고 포도주를 만들어 마셨다는 것이 가장 오래된 와인에 관한 기록이지만, 누가 언제 처음 와인을 만들어 냈는지는 알 수 없다. 와인을 오랫동안, 맛있게 보관하기 위해 만들어 진 것이 바로 코르크다. 코르크는 코르크나무에서 얻는데, 17세기 프랑스 상퍄뉴 지역의 오빌레 수도원의 수도승인 동 페리뇽(Dom Pérignon)에 의해 처음 사용됐다.
최근 미국과 호주 지역의 와인 생산업체에서 돌려서 따는 스크루 캡을 코르크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코르크 마개의 몇 가지 단점에서 비롯한 것이다. 주로 알루미늄 캡을 사용하는 캐주얼한 와인이야 병을 따는 데 큰 문제는 없지만, 대부분의 와인이 사용하는 코르크 마개를 잘 따기 위해서는 몇 가지 지식과 노하우가 필요하다. |
일반 와인 마개 잘 따는 법
1) 호일을 커팅한다. 나이프에 달려 있는 작은 칼이나 빨래집게 모양의 호일 커터기를 이용하면 된다.
병의 목 부분을 보면 보통 두 개의 홈이 나 있는데, 나이프식 커터기를 사용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두 번째 홈 부분을 따라
잘라내는 게 좋다.
병 입구에 호일이 너무 가깝게 붙어 있으면 와인을 따를 때 호일을 따라 와인이 흐를 수도 있다.
병목을 따라 칼날을 한 바퀴 돌려 준 다음 세로 방향으로 그으면 호일 윗부분을 깨끗하게 제거 할 수 있다.
집개식 커터기는 첫 번째 홈에 양 날을 걸쳐 빙빙 돌려주면 호일을 벗겨 낼 수 있다.
2) 코르크가 나타나면 가능한 정 가운데 스크루를 박는다. 숙련자라 해도 정 가운데 스크루를 꽂는 것은 쉽지 않지만,
가능한 중심을 시작점으로 잡는 것이 마개를 한결 수월하게 딸 수 있는 방법이다.
스크루를 곧게 세워 시계방향으로 돌려가며 박기 시작한다.
3) 스크루 나사의 한 칸 정도 깊이까지 박아 넣으면 지렛대의 1단 부분을 병목에 걸친다. 왼손으로 병목과 지렛대 부분을
단단히 잡고 오른 손으로 소믈리에나이프의 손잡이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 코르크가 딸려 나오기 시작한다.
4) 코르크가 중간 쯤 나오면, 지렛대 2단 부분을 병목에 걸고 손잡이를 다시 위로 올리면 남아있던 코르크 부분이 올라온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지렛대 1단 부분과 2단 부분이 마치 관절처럼 꺾어지기 때문에 곧게 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칫 손이 다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1단, 2단 구분이 없는 지렛대라면 스크루 나사를 중간까지 박은 다음 일차적으로 손잡이를 올려 빼 낸 다음 남은 스크루 나사를 마저 박고 다시 한 번 빼내면 된다.
5) 와인 푸어러(pourer)는 와인을 보다 깔끔하게 따라 낼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로, 병 입구에 넣고 와인을 따르면 된다. 와인 푸어러가 없다면 와인을 깔끔하게 따르는데 약간의 요령과 연습이 필요하다. 와인은 잔에 너무 많이 따르기 보다는 잔이 볼록해지는 정도 선까지만 따르는 것이 보기도 좋고 건배할 때 소리도 좋아진다.
|
사실, 와인 마개를 딸 때 가장 난감한 경우는 스크루를 코르크에 박고 돌리던 중 코르크가 부서져 버리는 현상이다.
이는 대부분 와인 보관 방법이 잘못돼 코르크가 말라 부식된 상태에서 힘이 가해져 일어나는 일이다. 와인을 보관할 때 병을
뉘어놓는 것은, 코르크가 와인과 접촉함으로써 수분에 의해 코르크가 팽창해 병과 코르크 사이의 틈을 완전히 없애기 위해서다.
만약, 오랫동안 코르크가 수분과 접촉하지 못하게 되면 코르크가 말라버려 부서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코르크의 미세한 틈에
존재하는 곰팡이 균인 TCA(Trichloranisole)에 의해 코르크가 썩으며 부식되는 경우도 있다. 전체 와인 중 5~10% 정도가
이 곰팡이 균에 노출돼 있는데 이로 인해 코르크가 상하면서 퀴퀴하고 불쾌한 향이 날 수도 있다.
와인을 따는 도중 코르크가 부서졌다면, 일단 부서진 코르크를 제거하고 다시 오프너를 넣어 약한 힘으로 조심해서 따야 한다.
코르크가 부서져 병 안으로 들어갔다면 와인 디켄터를 이용해 불순물을 걸러내고 와인을 마시면 된다.
샴페인 마개 잘 따는 법
샴페인을 비롯한 발포성 스파클링 와인을 딸 때는 별도의 오프너가 필요 없다. 하지만 샴페인 등 스파클링 와인 병 안에는
강한 압력이 형성돼 있기 때문에 자칫 폭발과 함께 귀한 와인의 상당 부분을 그냥 흘려버릴 수 있으니 조심해서 따야 한다.
1) 샴페인 등 스파클링 와인은 마시기 전에 얼음물에 병째 담가 어느 정도 칠링(chilling)해 둔다. 칠링하지 않은 상태에서
마개를 따면 병 내 공기압이 높아져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보통 8~10℃가 가장 안전하고 맛있게 샴페인을 마실 수 있는
온도. 수돗물의 온도가 보통 15℃ 정도 되니 참고하면 된다.
2) 얼음물에서 꺼낸 병을 깨끗이 닦은 다음 손으로 호일을 벗겨낸다. 보통 호일 부분을 살펴보면 쉽게 벗겨낼 수 있도록
실 같은 것이 나와 있다.
3) 샴페인의 코르크는 강한 압력을 버티기 위해 철사로 묶여 있다. 동그란 손잡이 부분이 있어 꼬인 부분을 돌리면 철사를
벗겨 낼 수 있는데, 이때 코르크가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튀어 나올 수 있으니 손바닥이나 엄지손가락으로 코르크 윗부분을
단단히 누르면서 철사를 벗겨내야 한다.
4) 철사와 메탈 캡을 벗겨낸 다음에는 한 손으로 병 아랫부분을 단단히 잡고 한 손으로 병 입구를 잡은 상태에서 코르크를
좌우로 살짝 돌리면 압력에 의해 마개가 슬슬 위로 빠져 나온다.
5) 마개가 거의 다 빠져 나올 때지 코르크를 위에서 눌러 튀어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 너무 빨리 열리면 거품이 생겨
넘쳐흐를 수 있다. 끝까지 기다렸다가 살짝 비틀어 주면 ‘펑’하는 듣기 좋은 소리와 함께 코르크가 완전히 빠져 나온다.
마시다 남은 와인 보관 방법
와인 스토퍼(wine stopper)라고 하는 마개를 이용해 막아 둔다.
또 진공마개를 꽂아 펌핑해 공기를 빼 주면 좀더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마시다 남은 와인을 언제까지 먹을 수 있는 가는 보관 방법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정해 진다. 와인 셀러에 넣어 두는 것이 제일 좋다. 전용 셀러가 없다면 온도의 변화가 적은 곳에 보관한다. 일단 마개를 딴 와인은 잘 보관하면 2주 까지도 가능하나, 가능한 빨리 와인의 맛이 변하기 전 마시는 편이 좋다.
샴페인 코르크는 결코 다시 사용할 수 없다. 샴페인 코르크를 살펴보면 양송이 모양으로 생겼는데 이는 강한 압력에 버티기 위해 병목의 둘레보다 훨씬 굵은 코르크를 박아 두었기 때문이다. 손으로는 다시 같은 병에 코르크를 넣을 수 없다.
|
원문보기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4908
'Cooking > Dr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을 감상하는 법 (0) | 2013.06.28 |
---|---|
와인의 종류 (0) | 2013.06.28 |
와인을 올바르게 구매하는 방법 (0) | 2013.06.28 |
와인 라벨읽는법 (0) | 2013.06.28 |
커피 효능 알고 먹자! 아메리카노 다이어트에 효과적? (0) | 201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