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Culture/history

수원지검 이재명 죽이려 시민 후원계좌까지 무차별 사찰"

lisa311 2024. 7. 18. 12:56

비명계 낙선의원 총15명 초일회 세력을 규합해서 당을 흔들려고  

- 박광온, 강병원, 박용진, 신동근, 송갑석, 양기대, 윤영찬 

 

최유나   2024. 7. 16. 08:37 

 

이철희 "이재명, 대통령 준비 잘 돼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당 대표 연임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먹고 사는 문제, '먹사니즘'을 강조한 출마 선언문으로 일각에서는 대선 출마를 방불케 한다는 평가가 나왔는데,

이철희 전 청와대 정무수석도 비슷한 평을 내놓았습니다.

 

이 전 수석은 오늘(16일) MBN 유튜브 '나는 정치인이다-주간 이철희'에서 이 전 대표 출마 선언문에 대해 "굉장히 잘 썼다"고 호평했습니다.

그는 "대통령에 대한 준비가 잘 돼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현존하는 정치인들 중에 대통령직에 대한 준비 잘 된 사람으로 그동안 봤던 사람이 유승민 전 대표였는데, 이 대표 선언문도 보면서 '준비 참 착실하게 한 사람이구나' 생각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심지어 이 전 대표가 지난번 대선에서 당선됐더라면 참 잘했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연설문이 좋더라"면서 "미래에 대한 청사진, 자기 철학 이런 것들이 잘 담겨 있다"고 거듭 극찬했습니다.

친명(친 이재명)에 가까웠던 김두관 전 의원이 이 전 대표의 경쟁자로 나선 것을 두고 '약속 대련'이라는 지적이 나온 것에 대해선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수석은 "대표가 임기 중에 있을 땐 존중해야 한다. 대체로 (당 대표의 의견에) 따라가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땐 왜 받아들이고 지금 와서 딴소리하냐'고 하는데, 딴소리가 아니다. 그때는 대표가 이미 뽑혔기 때문에 그 사람을 존중하는 것이고 이젠 누가 대표가 될 것인가 경쟁하는 거라 차이를 드러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표에 도전하는 게 김 전 의원의 삶과 맞다는 주장도 내놓았습니다.

이 전 수석은 "김 전 의원은 동네 이장부터 이렇게 올라온 사람 아니냐"며 "나름 신화를 갖고 있으신 분이고,

도전해 오면서 자기 삶을 개척하는 분이라고 하면 이렇게 (당권에) 도전하는 게 좋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의원의 예상 득표율과 관련해선 "저는 잘 맞추지 못한다"면서도 "(지난번 전당대회 당시)박용진 후보보다는

더 받을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수석은 "(지난번 전당대회 때는) 이 전 대표 살리는 게 제일 중요한 상황이었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이미 이 전 대표가 반석 위에 올라 있으니 (당원들 마음에) 조금 여유가 생기지 않았나 싶다"고 설명했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

 

--------------------------------------------------------------------------------------------

 

이재명 후원계좌 34분만에 완판 “99% 10만원 이하 소액 후원”

 

7월16일 이 대표는 자신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후원회 오픈 34분만에 모금액을 가득 채웠다”며

“2024년도 후원을 마감한다”고 밝혔다.

전날 이 대표는 “국민의 손으로 만든 국민의 일꾼 이재명의 든든한 후원인이 되어 달라”며 이날 오전 10시에 후원회 계좌를 열겠다고 알린 바 있다. 이날 이 대표의 계좌에는 약 4700명의 후원인이 후원금을 보냈다. 이 대표는 “전체 후원자의 99.78%가 10만 원 이하 소액이기에 더욱 소중하다”며 “후원금과 함께 남겨주신 글귀에 마음 한켠이 먹먹해진다”고 전했다.

정치자금법상 정치인 1인당 연간 후원금 모금 한도는 1억 5천만원이지만 총선과 대선, 지방선거가 있는

해는 지역구 의원에 한해 그 두 배인 3억원까지 모금할 수 있다.

 

----------------------------------------------------------

 

"합법적 정치후원금조차 수사대상에 올려…전국민 사찰하나"

입력 2024.05.27. 서울=뉴시스] 김지은 김경록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27일 수원지검을 '정적 제거 전담 수사청'으로 규정하고 "검찰이 이재명 대표를 죽이려 무고한 시민의 금융계좌도 무차별적으로 사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정치검찰 사건 조작 특별대책단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원지검이 합법적 정치후원금조차 수사대상에 올렸다"며 "과잉·폭압 수사를 즉각 중단하고 금융거래 조회 내역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대책단은 "최근 민주당 '사건조작 제보센터'에 검찰이 본인의 금융거래 내역을 들여다봤다는 신고가 들어왔다"며 "한두 사람이 아니다. 민주당 당원이 아닌 분들도 여럿"이라고 말했다.

대책단에 따르면 한 시민은 최근 수원지검으로부터 지난해 11월 자신의 금융거래내역을 조회한 사실을 통보받았다. 검찰은 2018년 5월과 6월의 금융거래 내역을 조회했고, 이재명 대표에 후원금을 냈다는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고 한다.

이들은 "'사건조작'으로 악명 높은 수원지검은 2년 넘게 이 대표와 주변인들을 압수수색, 소환조사로 압박했다"며 "또 다른 사건 조작을 위해 무고한 시민들까지 괴롭히고, 이 대표 후원을 꺼내 든 것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강변했다.

아울러 "정치검찰은 시민만 공격하는 게 아니다. 공직자 사냥은 진즉 시작됐다"며 "경기도청은 2022년 7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모두 14차례나 압수수색 했고, 직·간접적으로 검찰 조사를 받은 경기도 공무원만 200여 명에 이른다"고 강조했다.

대책단은 "김혜경 여사 법카(법인카드)를 수사한다며 동네 세탁소, 과일가게까지 이 잡듯 뒤진 검찰"이라며 "검찰권 남용으로 비판받았지만 '친윤'검사로 불리는 김유철 수원지검장 임명으로 수사 강도는 더 거세질 것이 우려된다"고도 언급했다.

기자회견에 함께한 장경태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수원지검에 정적제거를 위한 무차별적인 정치보복이 날이 갈수록 극단적으로 치솟고 있다"며 "정치인 사찰을 넘어 전 국민 사찰을 진행하고 있다는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끝을 알 수 없는 묻지 마 통장조사부터 무차별적인 압수수색 통신기록조회, 소환조사로 무고한 시민들이 고통받고 있다"며 "국회의 정당한 자료요구는 거부하는 검찰의 반민주적인 행태를 강력하게 규탄하고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

김지은 기자(kje1321@newsis.com)

김경록 기자(knockrok@newsis.com)

 

--------------------------------------------------------------------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강병원 의원이 지난 12일 국회 소통관에서 민주당 혁신 방안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당 대표의 공천권을 내려놓겠다”고 밝히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이 8·28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 출마를 위해 당에 내는 ‘기탁금’ 액수를 확정했다.

당 대표의 경우 억 단위에 가까운 기탁금을 내야 하는데 선거 승패와 상관없이 돌려받지 못한다.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는 13일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에 전날 경선 후보자 기탁금(후보자 등록비용)의 경우

당 대표 8000만 원, 최고위원 3000만 원으로 각각 확정했다고 보고했다. 세부적으로 예비경선 기탁금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 후보 각각 1500만 원·500만 원, 본 경선 기탁금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 후보 각각 6500만 원과 2500만 원으로 책정됐다.

과거 당 대표와 최고위원 모두 예비경선 기탁금으로 각각 500만 원씩 냈지만, 이번에 당 대표 예비경선 기탁금이 3배로 증가한 것은 당 대표 예비경선의 경우 여론조사 비중을 늘렸기 때문이다. 신현영 민주당 대변인은 “예비경선에서 여론조사가 추가됐다”며 “표본 수를 충분히 하기 위해 4000명 표본을 대상으로 하기에 경선 소요 비용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당에서 큰 비용의 기탁금을 받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일단 전당대회 장소 섭외를 포함해 여론조사 등 각종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올해 전당대회는 서울 송파구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다. 예비경선 비용이 본 경선 비용보다 저렴한 데는 통상 장소 대여비와 관련이 있다. 앞서 민주당은 예비경선을 대관료가 들어가지 않는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 등을 활용해왔다.

대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전자투표 기기를 빌려오고, 투표사무원을 투입하는 등 제반시설 이용 비용과 인건비가 크게 든다고 한다. 통상적으로 각 정당은 선관위에 경선 투개표와 관련한 관리·감독을 위탁해왔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내 선거를 치르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비용이 투입되기에 기탁금은 선거 승패와 상관없이 돌려주지 못하는 것”이라며 “다만 원외 39세 미만의 청년과 장애인을 배려하고자 50% 기탁금 할인 제도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해완 기자 parasa@munhwa.com